이번시간에는 수정 편집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보시는 예제문처럼 왼쪽 디자인트리에 여러 가지 오류가 나타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렇게 여러 가지 오류가 나타나면 롤백바를 이용해서 처음부터 확인을 해야합니다. 롤백바가 이동되면 그 위치까지의 작업한 모습을 보여주게 됩니다. 하지만 화면상에는 아무것도 안나타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Main이라는 곳에 스케치 편집을 확인해 봐야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스케치가 나타나지만 육안상으로는 문제가 없기ㄸ문에 기능을 이용하여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커서를 따라가다보면 스케치 검사라는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이 스케치는 베이스 돌출의 용도이기 때문에 그대로 내비두고 검사버튼을 누릅니다. 알람이 나타나면 확인을 누릅니다.그렇게되면 바로 돋보기가 현상화되고 문제가 나타나는 곳을 볼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선을 지우고 특정 구속조건을 부가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새로고침을 누르면 2군데가 아직까지 문제되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앞 뒤로 조정하며 2군데 모두 해결을 하도록 합니다. 최종적으로 완료가 되면 ‘문제점을 찾을 수 없습니다.’ 알람이 나타납니다. 닫기 누르고 스케치를 빠져나가면 모델링이 나타나게 됩니다.그리고 안쪽에 오류가 없어지게되면서 롤백바를 다시 한칸씩 내리면서 편집작업을 하겠습니다.두 번째 피쳐도 오류가 나타났기 때문에 스케치 편집을 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특정 선이 불완전하게 구속을 갖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선을 클릭하면 구속조건의 오류가 나타나고 중간에 빨간점을 끌어다가 바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바로 드레그엔 드롭을 사용해서 해결하고 빠져나갑니다.다시 롤백바를 내립니다. 이번에도 오류가 나타나고 스케치 편집을 하겠습니다.하지만 아무리 보아도 문제가 없고 스케치를 다시 빠져나가면 알람이 나타납니다. 바로 스케치 평면 편집을 사용하라고 합니다.피쳐 아래에는 스케치가 들어있는데 스케치에다가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면 스케치 평면 편집을 클릭할 수 있습니다.보시다싶이 빠져있는 것을 보실 수 있고 특정면을 클릭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다시 롤백바를 내리도록 하겠습니다.역시나 오류가 나타나면 동일 작읍으로 해결하시면 됩니다. 이번 오류는 다른 오류인데 필렛값이 너무 과강하게 크면 필렛 반경을 표현할 수 없습니다.피쳐편집하고 빠져나가면 오류메시지가 뜨지만... FeatureXpert라는 기능을 이용해 적합한 라운딩 값을 자동으로 조절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수정 편집하는 방법이였습니다. 다음시간에는 함수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수식 사용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