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속서 1 차체의 강도1. 페달력을 인가한 프레임 피로시험 그림 1에서 보이는 것처럼 차체의 앞쪽 뒤쪽 평면에 7.5°의 경사를 갖고 수직 반대 평면에서의 차체의 중심선으로부터 150 mm 위치에 1,200 N의 반복됨 힘을 페달 스핀들 양쪽에 인가한다. 이러한 힘을 적용하여 시험하는 동안에 페달의 답력을 5 % 또는 페달 스핀들의 시험력의 인가 시작 이전에 최대 힘을 그 이내로 해야 한다.100,000번의 사이클에 대해 시험력을 인가하고 한 사이클의 테스트에 대해서 적용한 후 두 시험력에 대한 제거를 실시한다. 서스펜션 프레임을 시험하는 경우, 프레임에서 받는 저항력이 최대가 되도록 서스펜션의 스프링, 공기압 및 댐핑을 조절한다. 서스펜션에 잠금장치가 없다면 고정링크로 교체하여 시험한다. 단위 : mm Rw : 단단한 마운트의 높이Rc : 수직 암의 길이(75 mm)L : 크랭크의 길이(175 mm) 2. 수직하중 피로시험기본적인 위치에서 차체를 고정시키고 그림 2에서처럼 뒤쪽의 이탈을 방지하여 회전에 구속되지 않게 해야 한다. 시험력을 인가하는 도중에 앞쪽 뒤쪽의 구부림에 대한 차체를 허용하여 앞쪽 액슬에 적절한 롤러를 맞춘다.둥근 강철바를 안장 튜브의 위로 안장 스템에 동일하게 삽입하고 일반적인 고정방법에 의해 이것을 고정한다.강철바의 축에 교차하여 70 mm(± 1 mm 정확도) 지점에서 수직 아랫방향에 0에서 1,200 N으로 동적 주기로 힘을 인가하고 확장된 부분 E에서 25 Hz를 넘지 않는 시험 진동수로 50,000 사이클의 시험을 실시한다. 단위: mm 1. 자유로운 롤러2. 강철바3. 고정된 완충 장치 또는 축이 되는 체인 안정 장치에 대한 연결부4. 뒤쪽 액슬에 대해 축이 되는 고정부 3. 수평하중 피로시험기본적인 위치에서 차체를 고정시키고 그림 3에서처럼 뒤쪽의 이탈을 방지하여 회전에 구속되지 않게 해야 한다.그림 3과 같이 전/후 축을 통하여 +1,200 N의 강한 수평 힘을 앞 방향으로 가하고 - 600 N의 힘을 반대방향인 축의 앞포크 하단 쪽으로 50,000번씩 가한다. 앞포크가 수직 방향으로 내려 눌러도 앞/뒤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최대 진동수는 25 Hz라야 한다.단위: mm 1. 가이드가 달려있고 자유롭게 구르는 롤러2. 뒤축이 부착되는 지점의 견고한 피봇 장치